나에게는

내가 느꼈던 점

  • 내가 일에 대해서 고민했던 내용들에 대한 힌트들을 담고 있어서 좋다.
    • 일을 좋아서 하는지, 잘해서 하는지. 재능이 없으면 다른 일을 알아봐야하는지.
  • 그 중에서 일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나와 기억에 남았던 것은
    • 어떤 일이든 고통은 전제 조건이고 내 일이 소중하다면 그 일을 계속하게 하는 소중한 것을 깨닫고 되새겨야한다.
    •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어쩌면 매일매일) 의식을 집중해서 연습을 하는 인고의 시간을 보내야한다.
  • 인생 대한 의미와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서 자기 분야에서 잘하고 있는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 순간 순간에 충실하면서도 미래의 풍경도 마음에 그려보는 온전한 인생을 살아보면 어떨까.
  • 취미 특히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에 도움이 된다.
    • 여기서 취미란 본업 외로 내가 좋아해서 시간을 쏟지만, 본업만을 생각했을 때는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는 일을 말한다.

인상 깊었던 구절

설령 오래 살지 않아도 좋으니 적어도 살아 있는 동안은 온전한 인생을 보내고 싶다.
계속 달려야 하는 이유는 아주 조금밖에 없지만 달리는 것을 그만둘 이유라면 대형 트럭 가득히 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가능한 것은 그 ‘아주 적은 이유’를 하나하나 소중하게 단련하는 일뿐이다.
시간이 날 때마다 부지런히 빈틈없이 단련하는 것.

그리고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때때로 효율이 나쁜 행위를 통해서만이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정한 규칙을 한 번이라도 깨트린다면 앞으로도 다시 규칙을 깨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이 레이스를 완주하는 것은 아마도 어렵게 될 것이다.

한 발 한 발 보폭에 의식을 집중한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동시에 되도록 긴 범위로 만사를 생각하고, 되도록 멀리 풍경을 보도록 마음에 새겨둔다.

그러나 ‘고통스럽다’라고 하는 것은 이런 스포츠에 있어서는 전제 조건과 같은 것이다.

이렇게 해서 사람은 러너가 되어간다.

내 생각

  • 내가 일에 대해서 고민했던 내용들에 대한 힌트들을 담고 있어서 좋다.
    • 일을 좋아서 하는지, 잘해서 하는지.
    • 재능이 없으면 다른 일을 알아봐야하는지.
    • 아래와 같은 질문들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 일을 좋아해서 한다?
      • 일의 과정이 즐겁지 않아도 한다?
      • 어떻게 해야 일을 잘할까?
      • 일에 재능이 없으면 다른 일을 할까?
      • 죽음 앞에서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인생에 정답이 있을까?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할까?
      • 운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그 중에서 일에 대해서 반복적으로 나와 기억에 남았던 것은
    • 어떤 일이든 고통은 전제 조건이고 내 일이 소중하다면 그 일을 계속하게 하는 소중한 것을 깨닫고 되새겨야한다.
    • 일을 잘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어쩌면 매일매일) 의식을 집중해서 연습을 하는 인고의 시간을 보내야한다.
  • 인생 대한 의미와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서 자기 분야에서 잘하고 있는 다른 사람의 생각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 순간 순간에 충실하면서도 미래의 풍경도 마음에 그려보는 온전한 인생을 살아보면 어떨까.
  • 취미 특히 운동에 대한 동기부여에 도움이 된다.

책에 대해서

일을 좋아해서 한다?

  • 작가 일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일의 결과가 아니라 일의 과정 자체였다. [p.27 나로서는]
  • 좋아하는 사람은 안 시켜도 하고 안 좋아하는 사람은 억지로 시켜도 안한다. [p.34 내가 이렇게 … 계속할 수 없다. \ 만약 장거리]
  •  쉬지 않고 일을 하다보니 도달해있는 곳에서는 잘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이제 내가 만든 결과도 내가 좋아하기 때문이다. [p.57 아무튼 여기까지 \ 좋아하기 때문이다.]
  • 나에게 중요한 것은 시간의 효율성보다 충족감(얼마만큼 내가 즐길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p.83 중요한 것은 … 것이 아닐까]

일의 과정이 즐겁지 않아도 한다?

  • 프로 마라토너도 매일매일 하기 싫다라는 생각이 든다. [p.35 무슨 그런 \ 아, 역시]
    • 그래서 김연아도 ‘무슨 생각을 하면서 해요. 그냥 하는 거지’라고 답변한 걸까.
  • 일의 과정 자체에 심취하다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끝에 도달해 있다. [p.45 결승점이라고]
  • 좋은 결과를 얻어서 좋은 것이 아니라 그 힘들고 길었던 여정(과정)이 끝나서 기쁘다. [p.38 이만하면 … 기쁘다.]
  • 경력(경험과 나이)가 쌓여도 일은 똑같이 힘듦의 반복이다. 중요한 것은 이 프로세스를 내 인격의 일부로 만드는 것이다. [p.49 아무리 \ 그리고 그]
  • 스포츠에서 고통은 전제 조건과 같은 것이다. [p.111 그러나 고통스럽다]

    그러나 ‘고통스럽다’라고 하는 것은 이런 스포츠에 있어서는 전제 조건과 같은 것이다.

어떻게 해야 일을 잘할까?

#매일

  • 달리기라는 행위를 매일 반복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에 흡수했고 그렇게 러너가 되었다. [p.32 스피드나 … 엷어져 갔다. | 이렇게 해서]

    이렇게 해서 사람은 러너가 되어간다.

  •  이렇게 유명한 작가도 자신의 일을 위해서 시간과 노력을 몸이 혹사될 정도로 들여야한다. [p.33 소설을 쓰기]
  • 실패의 원인은 연습량의 부족이다. [p.39 실패의 원인 … 전부였다.]
  • 어떤 핑계가 되었든 연습을 며칠 쉬어버리면 실력이 급하락한다. [p.52 그러나 \ 매일 달린다는 … 되어버릴 것이다. \ 우리에게]

    계속 달려야 하는 이유는 아주 조금밖에 없지만 달리는 것을 그만둘 이유라면 대형 트럭 가득히 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가능한 것은 그 ‘아주 적은 이유’를 하나하나 소중하게 단련하는 일뿐이다. 시간이 날 때마다 부지런히 빈틈없이 단련하는 것.

  • 아무것도 쓸 것이 없어도 매일 쉬지 않고 의식을 집중해서 일을 해서 나에게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내 몸에게 알려준다. [p.55 매일 쉬지 \ 비록 아무것도]
    • 음악가도 감을 잃지 않도록 매일 연습한다고 했다.
  • 규칙을 한 번이라도 깨트린다면 앞으로도 다시 규칙을 깨게 될 것이고, 완주는 아마도 어려울 것이다.1 [p.76 아무리 달리는 … 될 것이다.]

    만약 자신이 정한 규칙을 한 번이라도 깨트린다면 앞으로도 다시 규칙을 깨게 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이 레이스를 완주하는 것은 아마도 어렵게 될 것이다.

    • Q. 음악가들은 정말로 하루도 빠짐없이 연습을 할까? 최소한 얼만큼 할까?
  • 처음부터 완벽한 결과물을 내는 것이 아니라 일을 시작하고 고쳐가면서 완벽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p.82 쓴다고 하는 \ 깊게 해나간다.]

일에 재능이 없으면 다른 일을 할까

  • 살찌기 쉬운 체질이 오히려 운동을 하게 만들었다. 재능의 불공평함은 삶을 장기적으로 보지 않으면 잘 알 수 없다. [p.33 그러나 생각해보면 \ 무엇이 공평한가 \ 자연의 수원에만]
  • 재능이 없어도 빨리 노력을 시작하면 재능의 대용품으로 쓸 수 있다. [p.56 한편 재능이 \ 재능의 대용품]
  •  사람마다 페이스는 다르다. [p.65 그녀들에게는 그녀들에게 \ 시간성이 있다.]
  • 작가도 자신을 돌아보면 장점은 별로 안 보이고 단점만 잔뜩 보인다고 한다. 그래서 무엇을 하든 소용없다고 느낄지 모른다고 한다. [p.103 단점이 압도적으로 \ 나 자신이라는 … 느낌도 든다.]
  • 그러나 시간이 가면서 내 자신에 대해서 계속해서 새롭게 알아가게 된다. [p.108 가령 몇 … 비쳐주지 않는다.]

죽음 앞에서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인생에 정답이 있을까?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할까?

  •  인생에는 우선순위가 필요하다. [p.31 내 생각에는]
    • 이거는 성장과 집중에 관한 책들에서 자주 말하는 것들이다.2
  • 죽음과 함께 미래에 대한 계획과 희망 그리고 그것을 위한 노력들이 연기처럼 사라진다. [p.54 그만큼 … 것인가, 하고]
    • Q. 그렇다면 미래를 준비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 오래 사는 인생을 추구하기 보다 온전한 인생을 바란다. [p.57 설령 오래]

    ‘설령 오래 살지 않아도 좋으니 적어도 살아 있는 동안은 온전한 인생을 보내고 싶다’

  •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것 획득하는 과정은 대부분 효율이 나쁘다. [p.112 적어도 노력을 \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때때로 효율이 나쁜 행위를 통해서만이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 나도 내 방식이 있는데 어떻게 남에게 내 방식을 강요할 수 있을까. [p.101 그런 사람이]
  • 인생을 살고난 뒤에 돌아보아야 일어났던 일들의 의미를 알 수 있게 된다. [p.107 그러나 나중에 \ 있게 된다.]
  • 내 바로 앞의 내딛는 한 발 한 발에 집중하면서 긴 범위로 만사를 생각한다. 그리고 그 먼 풍경을 마음에 새겨둔다. [p.112 어쨌든 눈앞에 \ 마음에 새겨둔다.]

    한 발 한 발 보폭에 의식을 집중한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동시에 되도록 긴 범위로 만사를 생각하고, 되도록 멀리 풍경을 보도록 마음에 새겨둔다.

  • 작가는 걷지 않는 인생을 살려고 한다. [p.113 적어도 끝까지]

운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일 순위인 소설을 잘 쓰기 위해 운동을 한다.3 [p.115 내 경우 … 되고 만다.]

이 책을 고른 이유

  1. Gemini
    1. 『단 한번의 삶』과 비슷한 책들을 찾아줘.
    2. 열심히 한 분야에서 일한 사람인데 좋은 책 알려줘.
    3. 자신의 인생으로 알려주는 책 말이야.
    4. ⇒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무라카미 하루키)
  2. 무라카미 하루키가 유명하다고 들어보기만 함.
    1. 대만 여행에서 서양인이 노르웨이의 숲 책을 들고 다는 것을 봤었음.
  3. 본업은 작가인데 달리기를 말하고 있어서 오히려 흥미가 갔음.

다른 자료와의 연결

  1. ‘다음에 잘할거야가 아닌 다음에도 똑같이 될 것이다’이다. _ 왜 나는 항상 결심만 할까 | 켈리 맥고니걸 - 교보문고 

  2. Deep Work | Newport, Cal - 교보문고 

  3. 의지력을 위한 중요한 2가지 운동과 수면 중 운동에 해당한다. 운동으로 에너지를 오히려 더 얻는다. _ 왜 나는 항상 결심만 할까 | 켈리 맥고니걸 - 교보문고